구입 시기
4년 전 이사를 하면서 식탁을 구입해 시행착오를 겪고, 올해 봄 지금의 책상을 들였다.
책상과의 시간
출장이 없으면 직장인과 비슷하게 오전부터 오후까지 일하는 편이다. 늦어도 오전 10시에는 책상 앞에 앉아 있으려고 한다.
책상 앞 루틴
직접 핸드드립 한 커피 한 잔을 두고, 향수를 뿌린다. 향긋한 내음 덕분에 좋은 기분이 유지된다.
몰입하는 주제
테마가 있는 여행 책, 특히 에세이를 더 쓰고 싶다. 최근 ‘즐거운 도서관’에서 진행하는 여행 에세이 쓰기 강의에서도 수강생들과 책을 만들 계획이라 글을 첨삭하는 데 집중할 것이다.
성장의 원동력
혼자서 일하는 프리랜서이기에 타인의 피드백이 어느 정도는 필요하다. 한번 함께 일했던 이들이 이직 소식을 알리며 다시 원고 청탁을 할 때 내 글이 괜찮다는 안도감과 확신이 든다.

우지경은 여행 경력 27년 차의 베테랑 여행 작가다. 가이드북과 에세이를 포함해 펴낸 책만 총 9권이다. 그런 그에게 책상은 수없이 많은 곳으로 여행을 떠났다가도 마침내 돌아오는 장소다. “처음엔 카페에서, 급할 땐 비행기에서 일한 적도 있지만, 언제든 마음 편히 앉을 수 있는 지정석은 내 책상뿐이더라고요.” 그는 매일 오전 평상복으로 갈아입고 커피 한 잔을 내려 서재로 출근한다. “4년 전 이 집으로 오면서 서재를 새로 꾸렸어요. ‘식물을 좋아하는 주인장의 빈티지 북 카페’를 콘셉트로 삼았죠. 인테리어 공사 직전에 간 대만 타이베이의 티 하우스에서 영감을 얻어 초록색 벽지를 백방으로 찾았어요.”
그는 오각형 원룸에서 자취하던 시절, 가구 배치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식탁을 벽에 붙이지 않고 한가운데에 두니 그곳에서 식사도 하고, TV도 보는 등 생활 전반이 편리해졌다. “공간의 주인으로서 스스로가 중심이 되었으면 해요. 지금도 책상을 서재의 중심에 두는 것이 원칙이에요.” 이전까지 6인용 식탁을 쓰다가 새로운 서재에 걸맞은 새 책상도 들였다. “식탁은 폭이 넓었지만, 높이가 너무 낮더라고요. 어떤 의자에 앉더라도 편한 높이와 자료를 보관할 수 있는 넉넉한 수납을 기준으로 책상을 선택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