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LINE]
[00:00-00:34] 어른의 공부란?
[00:35-01:19] 자기 계발 말고 자기 발견
[01:20-01:59] 공부로 꽉 찬 하루
[02:00-03:00] 영감을 얻는 시간

“어릴 때 독서실에서 에세이나 소설을 종종 읽었는데, 그때는 그게 공부하는 게 아니라 노는 거라고 생각했어요.” 자아 성장을 위한 커뮤니티 ‘밑미’에서 러닝메이트를 맡고 있는 에세이스트 ‘단단’에게 공부의 의미는 어른이 되어 180도 바뀌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공부를 강요받는다. 성적을 위해, 입시를 위해, 좋은 직업을 위해. 그에게도 학창 시절 공부는 수치화할 수 있는 것이어야 했다. 공부를 잘하고 좋아했지만, 학창 시절 공부에는 ‘결과물’이 따라붙었다. 끝나지 않을 것만 같던 입시와 취업을 지나고 사회 초년생이 되면서 새로운 챕터가 시작됐다. “더 이상 수치화된 공부를 할 필요가 없는데도 제 안에서 공부를 하고 싶다는 마음이 일었어요.” 그렇게 퇴근하고부터 관심 있던 분야의 책을 읽는 것으로 시작했다. 놀이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진정한 배움이 된다는 걸 깨달았다.

“나의 감정과 상황은 내 탓이 아니지만 내 책임 가운데에 있다.” 어느 날 명상 가이드에게 들었던 이 문장이 그의 마음에 들어왔다. 내 삶의 방향키를 내가 쥐고 있다는 감각이 들게 했다. 공부는 그 감각을 극대화해 주었다. 어른이 되어 새로운 ‘공부’를 시작하며 그는 불안감이 서서히 줄어드는 걸 느꼈다. “그동안은 불안을 이겨내려 공부하고 취업 준비를 하고 여러 가지 시험을 봤다면, 지금은 공부를 하는 것 자체가 불안감을 해소해 줘요.” 단단에게 공부란 스스로를 성장시키고 그런 자신을 증명해야 한다는 욕구에서 비롯한 행위는 아니다. 회사 생활을 하고 사회의 일원이 되어서도 자본과 시간을 투자해 자신의 능력과 효율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강박 같은 것과는 거리가 멀다. “저는 자기 계발이란 말을 싫어해요. 공부는 자기 발견에 가까워요. 내 안에 이미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것을 반짝반짝 빛나게 닦아주는 게 제가 하는 공부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