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입 시기 
2019년 9월, 대구에서 처음 롤드페인트를 오픈할 때 구입했다.

책상과의 시간
오전 10시 정도에 출근해 퇴근할 때까지 책상 앞에 앉아 있다. 롤드페인트 업무와 개인 작업이 모두 이 책상에서 이뤄진다. 

책상 앞 루틴
출근하자마자 가방을 의자에 걸어둔다. 필요한 물건이 가방에 들어 있기 때문에 곁에 반드시 있어야 한다. 컴퓨터가 부팅되는 시간 동안 따뜻한 차 한 잔을 우리고, 오늘의 할 일을 정리한다. 롤드페인트 업무를 할 땐 이렇게만 준비하면 시작할 수 있는데, 개인 작업에 들어갈 땐 다소 부산스러운 편이다. 작업 동안 들을 음악도 고르고, 간식도 든든하게 먹고, 미뤄둔 일들과 정리 정돈을 한다. 긴 집중 시간을 앞두고 예열이 필요한 듯하다. 

몰입하는 주제 
일상을 관찰하는 일. 최근에는 일기를 쓰듯 기억하고 싶은 순간을 표현하는 작업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마스킹 테이프를 활용하는 방법을 더 많이 알리기 위해서도 다른 사람들의 일상을 관찰한다. 

성장의 원동력 
꾸준함. 마스킹 테이프로 하는 작업은 좋아하는 일이자 몸의 고통으로부터 구해 준 ‘약’이다. 하지만 항상 명심하는 건 꾸준히 하되 방법은 바뀌어도 된다는 것. 작업을 하는 이유는 나를 표현하기 위해서다. 이 목적을 이룰 수 있다면 도구는 바뀔 수도 있다.

길게 이어 붙인 마스킹 테이프가 서로 겹쳐 음영을 만들고, 하나의 모양을 이뤄 풍경이 되고, 장면이 된다. 종이 소재인 마스킹 테이프로 그린 그림은 동화적이면서도 포근하다. 채민지 작가가 책상 앞에 뭉근히 앉아 마스킹 테이프를 찢고 자르고 뗐다 붙였다 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만든 그림이다. 그는 국내 유일한 마스킹 테이프 전문점인 ‘롤드페인트’를 운영하며 자신의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일본의 마스킹 테이프 전문 브랜드 MT사에서 아트 콘테스트를 열었는데, 그곳에서 우승을 했어요. 당시 국내에 수입되는 색상이 한정적인 데에 아쉬움을 느끼던 터라 브랜드 담당자에게 농담으로 ‘내가 수입해 판매해도 괜찮으냐?’ 물었고, 브랜드에서 흔쾌히 수락해 가게까지 오픈하게 되었죠.” 

2019년 10월, 그는 가벼운 마음으로 대구에서 작업실 겸 쇼룸을 열었는데 의외의 반응이 돌아왔다. 예상보다 더 많은 손님이 온 것이다. “정말 감사한 일인데도 막상 작업할 시간이 없으니 정체성에 혼란이 왔어요. 다행히 남편이 함께 운영을 맡아주었고, 지난해에는 직원도 한 명 들어왔어요.” 혼자 운영하던 공간에 3명이 있다 보니 규모에 한계를 느꼈고, 올해 5월 서울로 매장을 이전하게 되었다. “대구에서 더 큰 공간을 구할 수도 있겠지만 방문객의 수가 변하지 않을 것 같더라고요. 용기를 내 서울로 진출했어요. 마침 지난해 롤드페인트 운영이 안정적인 궤도에 오르기도 했고요.” 브랜드를 이끌며 여러 번의 기복을 경험했던 그는 지금의 안정감이 영원할 수 없기에, 자발적으로 지역을 옮기는 불안정함을 택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