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는 일하기 위해 모인 곳이잖아요. 동료와의 관계가 꼭 좋아야 할까요? 
사람마다 가치관이 다르기에 회사 내에서 인간적인 관계를 맺을 필요는 없다고 느끼는 분도 있을 거예요. 하지만 하루에 8시간 이상을 함께 보내는 사람들과 잘 지내는 게 스스로의 마음 건강에도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해요. 무엇보다 우리는 하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회사에 모인 거잖아요.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도 소통이 잘 이루어져야 하겠죠. 특히 제가 이끌고 있는 마인드웨이는 사람들이 자신의 마음을 돌볼 수 있는 학습지와 서비스를 만들기에 팀원들의 마음도 건강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서로의 마음을 돌보며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려 해요.

팀원 간의 마음 돌봄을 위해 어떤 활동을 하나요? 
‘우리들의 마음 돌봄’이란 이벤트를 비정기적으로 진행해요. 프로그램 내용은 매번 바뀌는데, 어떤 달에는 차드 멍 탄의 명상법을 따라 팀원 중 한 명의 행복을 빌어주는 일을 했어요. 행복을 빌어줄 때 무슨 생각을 했는지 편지를 적어 공유했는데요. 타인의 행복을 바라면서 나 역시 행복해진다는 걸 깨달았죠. 대부분 학습지나 콘텐츠를 통해 고객분들에게 전한 메시지나 미션을 실천해요. 그 외에도 ‘행복 접수처’라고 해서, 회사 생활에 대한 설문 조사를 분기별로 해요. 또 일주일에 한 번씩 대표인 저와 일대일 미팅을 하는 시간도 갖죠.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하네요. 팀원들 반응은 어때요? 
일대일 미팅이나 행복 접수처를 통해 팀원들이 우리 조직의 목표를 다시 한번 상기하고, 우리의 방향성을 점검할 수 있다는 피드백을 줬어요. 리더의 방향성을 이해하기에 함께 우리 조직을 더 좋은 곳으로 만들려고 노력하게 된다고도 하더라고요. 자발적으로 일에 몰입하는 거죠. 매주 팀원 개개인과 이야기를 나눈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니지만, 결코 헛된 시간이 아니에요. 멀리 볼 땐 시간을 아끼는 일이기도 하죠.

기업을 대상으로 한 워크숍도 진행 중인데요. 어떻게 소통을 유도하나요?
작은 단위로 둘러앉아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갖도록 하는데요. 이때 두 가지를 약속해요. 첫째는 비밀 보장, 둘째는 내가 편안한 만큼만 이야기할 것. 마음을 이야기하라고 하면 엄청 솔직하게 털어놓아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이 시간이 지나고 나서 내가 감당할 수 있는지를 고민해 봐야 해요.

하지만 도저히 못 참겠는 감정도 있잖아요. 
이 이야기는 꼭 해야겠다고 생각했다면 세 가지 단계를 거칠 것을 권해요. 우선 자신의 감정을 명확하게 정리해 보세요. 예를 들어 누군가의 말을 듣고 화가 났을 때, 그 말이 나를 무시하는 것 같아서 슬픈 걸 수도 있어요. 다음으로는 이야기를 들어줄 상대방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고민해 보세요. 내 감정을 표현하는 이유는 앞으로 이 사람과 더 잘 일하기 위해서잖아요. 내가 하는 말의 목적을 생각하며 그 사람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표현해야겠죠. 마지막으로 언제 어떻게 표현할지 생각해 보세요. 제 경우에는 ‘내가 이 말을 하는 이유는 당신과 더 잘 지내고 싶어서’라는 말을 꼭 해요. 또 비언어적인 표현에도 주의해야 해요. 좋은 말을 하면서도 한숨을 쉬거나 인상을 쓰면 의미가 잘 전달되지 않을 테니까요. 

직급에 따라 서로 어떤 태도로 대화해야 할까요?
어떤 직급을 불문하고 경청하는 태도를 가져야 해요. 경청은 상대를 존중하는 마음이거든요. 팀원이 팀장에게 무슨 말을 한다는 건 엄청난 용기를 갖고 하는 거예요. 후임의 태도나 생각이 바뀌면 좋겠다면 이 사람의 말을 들어주세요. 반대로 후임은 상사의 말을 들으면서 당신의 경험과 능력을 인정한다는 걸 보여주는 거죠.

유난히 지친 동료가 있다면 팀이 영향을 받기도 하죠.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하나요?  
내가 본 상태를 솔직하게 이야기해 주세요. 힘든 상황 안에 있는 사람은 자신이 어떤 상태인지 알지 못해요. 저희 팀원도 제가 늦은 시간까지 일하고 있으면 “유진 님 잠시 멈추세요”라고 말해 줄 때가 있어요. 그게 굉장히 도움이 되어요. 일에 몰입하고 있을 땐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을 잃곤 하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