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훌라 댄서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많이 떠올린 질문
Q. 사람들을 어떻게 하면 춤추게 할 수 있을까?
모든 사람이 어렸을 때는 자연스럽게 춤을 춘다. 춤을 추면 즐겁다는 느낌을 본능적으로 알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른이 될수록 부끄러움이나 잘 춰야 한다는 강박 때문에 춤추기를 꺼리게 된다. 그래서 수업을 할 때 강조하는 건 ‘자기만의 훌라를 찾자’는 것이다. 사람마다 배움의 속도도, 몸의 상태도 다 다르기 때문에 스스로가 각자의 리듬과 동작을 존중하는 방법을 먼저 알아가기를 권한다. 절대 ‘안 된다’, ‘틀렸다’는 말을 하지 않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자신의 흥만 담아낸다면 막춤을 춰도 근사하게 보일 수 있다.
일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진심을 잃지 않는 것. 훌라를 추고, 가르치는 일은 다른 사람에게 내 에너지를 전달하는 일이다. 미묘한 차이에도 사람들은 내가 훌라를 진심으로 대하고 있는지 눈치챌 수밖에 없다.
춤을 전공하지 않았어요. 어떻게 훌라 댄서가 되었나요?
아주 어릴 때부터 춤추는 걸 좋아했어요. 본격적으로 즐기기 시작한 건 중학생 때부터인데 춤 동아리에서도 활동하고, 친구들이나 초등학생들에게 춤을 가르치기도 했어요. 스무 살 무렵부터 대학에 진학하는 대신 본격적으로 댄스 수업을 듣기 시작했어요. 아프리칸 댄스, 삼바, 만달라, 한국 무용, 현대 무용, 발레 등 댄수 수업이라면 무조건 달려갔죠. 그때 알게 된 게 훌라예요.
춤을 정말 좋아했나 봐요.
본능 아닐까요? 다들 아직 모를 뿐 인간은 본능적으로 춤을 추면 즐거워진다고 생각해요. 특별히 제가 춤을 좋아하게 된 건 그 순간만큼은 몰입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평소 주의가 산만한 편이라 요가나 명상도 해보았는데 큰 효과를 보지 못했어요. 반면 춤을 출 때는 음악과 동작에 집중하다 보면 주위의 다른 것들이 신경 쓰이지 않아요. 제게 춤은 명상과 같아요.
다양한 춤 중에서 훌라가 유독 마음에 들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춤마다 추구하는 방향과 에너지가 달라요. 발레는 위로 뻗어 올라가는 동작이 많고 이상적인 자세를 갖추는 것을 지향해요. 삼바는 에너지를 쏟아내는 희열이 있는 춤이죠. 반면 훌라는 똑같이 몸이 힘들어도 추고 나면 마음이 굉장히 평온해져요. 훌라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기쁨’이거든요. 실제로 제가 어떤 상태에 있든 훌라를 추고 나면 밝아지고 기쁨이 솟아납니다. 고대 훌라는 신화나 역사, 왕에 대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춤으로, 진지하고 파워풀한 동작이 많았어요. 현대로 오며 많은 사람들이 즐겁게 즐길 수 있도록 변화된 거죠.
어떤 과정을 통해 훌라를 배우게 됐나요?
국내에 훌라를 가르치는 곳이 흔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겠지만, 알고 보면 훌라 협회도 두어 곳이나 있어요. 전국 각지에 하와이에서 훌라를 배워 국내에 전하는 1세대 훌라 댄서들이 계시고요. 2세대인 저는 그들의 길을 따라가면 되니 수월한 편이죠. 다만, 현지에서 배울 땐 언어의 장벽 때문에 힘든 점은 있었어요. 평소 영어 공부를 해둘 걸 후회를 했죠(웃음).
하와이에서는 무엇을 배웠나요?
하와이안 선생님과 2주 동안 같이 살며 훌라를 배웠어요. 짧은 시간이어서 춤을 많이 배우지 못했지만 대신 ‘알로하 정신’을 배웠어요. 인삿말로 알려진 하와이어로 ‘알로’는 마주하다, ‘하’는 생명의 숨결이란 뜻이에요. 생명의 숨결을 마주하고, 세상 만물을 존중하고 조화롭게 살며, 기쁨을 느낀다는 의미를 담고 있죠. 이 정신은 하와이안의 삶 곳곳에 배어 있어요. 훌라에서도 중요한 가치이기에 제 클래스인 ‘훌라당’ 수업을 할 때도 이를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