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라이프 코치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많이 떠올린 질문
Q. 내 삶이 끝나는 순간 후회 없이 살았다고 할 수 있을까?
오랫동안 나와의 대화를 하며 답을 찾았다. 지금 선택한 길에 만족한다. 

일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코칭의 인간관과 철학을 늘 되새긴다. ‘사람은 저마다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몸과 마음이 연결된 전인적인 존재이며, 고쳐 써야 하는 존재가 아니라 이미 온전한 사람이라는 것’을.

라이프 코칭이란 말을 처음 들어요. 얼핏 심리 상담과 비슷할 듯한데, 어떤 것인가요?
심리 치료, 멘토링, 컨설팅 등등 라이프 코칭과 유사한 분야가 많아요. 코칭의 제일 큰 차이점은 문제의 해답이 고객 안에 있다고 믿는 거예요. 라이프 코치란 그 사람의 이야기를 경청해 주고 거기에 대해 질문도 던지고 하면서 상대방이 스스로 고민했던 것에 대한 해답을 찾도록 도와주는 사람들입니다.

라이프 코칭은 어떤 식으로 진행되나요?
고객이 의뢰를 하면 코치가 코칭 프로그램에 대해 안내하고 계약을 하게 됩니다. 세션을 전화로 가질 건지, 대면으로 가질 건지, 세션의 주기는 어느 정도로 할 건지, 전체 세션 횟수는 얼마나 할 건지 등을 정하죠. 그리고 코칭을 통해 어떤 주제로 대화 나누고 싶고 어떤 변화를 이루고 싶은지 코치와 합의해요. 코치가 고객의 삶의 변화를 위한 파트너가 되는 거죠. 세션마다 고객이 어떤 깨달음을 얻으면 그것에 관해 실행을 해보고, 그다음 세션에서 실천하면서 뭘 깨달았는지 이야기해요. 

프로그램 중에 ‘자기 변형 게임’이 눈에 띄어요. 
애벌레가 나비가 되듯 사람이 변하는 과정을 돕는 게임이에요. 자기 스스로 원하는 주제를 설정하고 삶의 길처럼 보드게임 위를 지나가요. 그 중간중간 지나는 칸을 보면 심벌들이 있는데, 가이드 역할을 해요. 이것을 하라, 저것을 하라 주문을 하죠. 카드를 뽑아 거기 적힌 문장을 읽기도 하고, 그림을 보기도 하고, 어떤 액션을 하기도 하면서 마치 삶의 축소판처럼 게임이 벌어져요. 자연스럽게 스스로의 삶에 대한 통찰이 일어나도록 구성했어요. 예를 들어 ‘여유롭게 살고 싶다’를 주제로 게임을 시작했는데, 그렇게 쫓기면서 사는 이유를 파고들다 보면 내가 나를 믿지 못하기 때문인 경우가 있어요. 사실은 내 삶이 쫓기고 무거운 게 문제가 아닌 거죠. 내가 나를 사랑하는 마음에 포커스를 맞추면 삶의 어느 부분에서는 변화가 일어나겠죠.

주로 어떤 사람들이 라이프 코칭을 찾나요?
내 고민에 스스로 해답을 찾고 싶은 사람, 그런데 혼자서는 잘 안되는 사람들이 찾아와요. 궁극적으로는 변화를 만들어내고 싶고, 실제로 그 목표를 위해 어떤 실천도 해볼 의지가 있는 사람들이 코칭을 많이 선택한다고 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