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명
고독스테이

의미
직관적인 이름으로 짓고 싶었다. ‘고독한 스테이’를 만들 것이라고 주변에 이야기하고 다니다가 특별한 이름을 지을 필요가 없다는 걸 깨달았다.

탄생 시기
2020년 12월.

핵심 가치
온전히 나로서 홀로 있는 시간, 고독을 새롭게 발견하기, 스스로와 대화하기.

브랜드 준비 초기에 가장 많이 했던 질문
Q. 어떻게 하면 내가 느낀 ‘고독’을 고스란히 전달할 것인가?
처음에는 아무것도 없는 흰색 공간에 사람을 3시간 동안 놔두는 게 목적이었다. 그런데 생각보다 사람들이 그 시간을 못 견뎌 하기에 그 공간에서 자신의 감각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는 활동을 마련해 두고, 지령이 담긴 카드를 곳곳에 숨겨놓았다.

성장 포인트
고독스테이가 3년간 지속할 수 있었던 건 이곳을 다녀간 손님들의 피드백 덕이 컸다. 공간을 기획한 의도가 사람들에게 전달되고, 사람들이 기뻐할 때 보람을 느껴 계속하고 있다.

고독스테이는 고독을 경험하는 공간이죠. 어떻게 만들게 되었나요?
2019년 갭 이어를 가지면서 어렴풋이 기획한 공간을 구체화했어요. 당시 생산적인 일을 모두 멈추고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요가 수련을 하고, 인도의 오로빌이라는 도시에 자리한 공동체 마을에서 명상을 했어요. 이곳은 명상만을 위한 공간으로 휴대폰을 맡기고 들어가야 해요. 건물 가운데에 구멍을 뚫어놔서 햇빛이 들어오는데, 아래 연못까지 비추죠. 아주 고요한 우주선 같았어요. 변화하는 것이라고는 내 안의 생각들과 빛, 바람, 구름 정도죠. 다른 자극이 없어요. 처음에는 낯선 감각에 집중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 시간이 나한테 정말 필요했구나 하고 직감했어요. 다른 사람들과도 이 경험을 나누고 싶었고요. 

고독한 시간을 보내셨네요. 어떤 기분을 느꼈나요?
같은 기간에 바이칼 호수 트레킹도 갔는데, 인터넷이 잘 안 터졌어요. 휴대폰이 거의 먹통이라 그저 자연 속에서 걷기만 했는데 묘한 편안함을 느꼈어요. 외부와의 연결이 끊어지니 나와의 대화가 시작되었어요. 보통 고독이라고 하면 외로움의 이미지를 많이 떠올리는 것 같아요. 고립도 비슷한 뉘앙스가 있는데, 고독은 자발적이란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생각해요. 홀로 평온하고 충만한 상태가 고독이죠. 

고독스테이는 어떻게 이용하나요? 
입구의 새장 안에 휴대폰을 넣고 잠근 뒤 ‘고독의 방’으로 입장하게 돼요. 여러 가지 지령이 적힌 카드들이 곳곳에 있는데, 몇 가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돼 있어요. 의무는 아니고요. 처음에는 아무것도 없는 공간이었는데 시간이 지나며 사람들이 ‘무’의 공간을 견디기 힘들어한다는 걸 알았죠. 나쁜 것을 빼내는 디톡스만 중요한 게 아니라 그 자리에 건강한 경험을 채워 넣는 게 중요해요. 싱잉 볼로 소리 명상을 해보고, 스머지 스틱을 피우며 향도 온전히 느껴보고, 턴테이블로 바이닐을 들으며 음악에만 집중해 볼 수도 있어요. 이런 모든 행위가 명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이에요. 명상이란 곧 집중하는 감각을 훈련하는 거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