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힘의집 집주인, 케틀벨 선수, 설계자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많이 떠올린 질문
Q. 만들고 싶은 세계관이 무엇인가?
세계관을 만들어가는 것을 좋아한다. 영화 <매트릭스>의 아키텍트처럼 말이다. 패션에서 가구로 영역을 넓힌 디자이너 릭 오웬스처럼 계속해서 세계관을 만들고 확장시키고 싶다. 지금은 운동 문화를 만들고 있지만 또 어디로 튈지는 나도 모른다. 나중에는 ‘힘의밥’이라는 식당도 해보고 싶다. 이미 상표 등록도 해놨다. 관념으로만 존재하던 고대 운동을 현대적으로 구현한 것처럼 관념적인 것을 실체화시키는 것이 재미있다.
일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움직임이나 운동에 있어 남들이 못 보는 디테일한 면을 잘 본다는 점이 사람들에게 줄 수 있는 것이라 생각했다. 디테일을 계속 추가해 나가는 것은 나에게 있어 굉장히 재미있는 작업이다. 힘의집이라는 공간도 그렇고 홈페이지나 굿즈를 만들 때도 그렇다.

고대 운동은 어떻게 시작하게 됐나요?
건강 상태가 전반적으로 좋지 않다고 느꼈어요. 늘 비염을 달고 살았고 허리도 아프고 거북목도 심했죠. 이를 극복하고 싶어 헬스를 시작했는데 점점 몸이 좋아지는 게 보였어요. 운동이 주는 다양한 이점도 보이기 시작했고요. 운동이 마음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고 깊이 파다 보니 고대 운동과 소마틱스, 케틀벨을 알게 됐어요.
개인 운동에만 집중할 수도 있었는데 ‘힘의집’이라는 공간을 만들고 사람들에게 고대 운동을 알리게 된 계기가 있나요?
방망이를 휘두르는 고대 운동은 인도와 이란에서 하는 운동이에요. 이란에 갔더니 ‘주르카네’라는 공간에서 이 운동을 하더라고요. ‘주르’가 힘, ‘카네’가 집이라는 뜻이에요. 육각형 모양의 원형 극장처럼 되어 있는데 위에서는 관중석처럼 아래를 내려다볼 수 있는 형태예요. 주르카네는 운동만 하는 곳이 아니라 사람들과 얘기하고 차 마시고 낮잠도 자는 곳이에요. 마치 마을 회관 같죠. 옛날에는 저항군 아지트로 쓰이기도 했고, 어떤 마을엔 사우나 시설과 연결되어 있기도 해요. 주르카네는 문화의 총체예요.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이자 이란의 전통 무예죠. 한마디로 정의하긴 어려운 스포츠이자 종합 예술이에요. 주르카네를 고대 운동이라는 보편적인 언어로 사람들에게 소개하는 동시에 현대적으로 재해석해야겠다 생각했어요.
어떤 식으로 재해석했나요?
대표적으로 현대적인 장르의 음악을 사용해요. 타악기인데 두들기면 멜로디가 되는 핸드팬이라는 악기가 있어요. 핸드팬을 활용한 음악이나 엠비언트, 일레트로닉을 틀어요. 음악에 맞춰 운동을 하다 보면 트랜스 상태에 쉽게 들어가게 돼요.
여기서 한얼 님은 뭐라고 불리나요? 선생님이라고 하나요?
저는 집주인으로 불려요. 힘의집은 마을회관을 모티프로 하고 있어요. 마을마다 힘의집이 하나씩 있으면 좋겠단 생각을 하고 있죠. 운동하고 차도 마시고 책도 읽으며 사람들이 공간에 애착을 느끼고 편하게 있었으면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