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키미는 2018년 카카오 브런치에 마케터로 합류했다. 그동안 오픈마켓 회사의 디자이너, 쇼핑몰 MD, 웹 에이전시 등 커머스 관련 업무를 해오던 그였으니, 브랜드 마케터라는 직종은 콘텐츠에 대한 부푼 꿈 하나로 시작한 직종이었다. 다만 마케팅 직무가 처음인 데다 브런치 서비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게 문제였다. 그러니 남들과 나란히 서기 위해선 새로운 직무에 빠르게 적응하고, 더 나아가 잘 해내기 위해서는 주어지는 일 외에도 다른 방식으로 경쟁력을 키워야 했다.

“브랜드 마케터로서 도달할 수 있는 최상위의 목표가 무엇일지 고민했어요. 그랬더니 나를 브랜딩하는 것이라는 결론이 나오더라고요. 나를 브랜딩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브런치 브랜딩도 잘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죠. 그렇게 시작한 첫 사이드 프로젝트가 <오늘부터 나는 브랜드가 되기로 했다>라는 책을 쓰는 거였어요.” 브런치 작가들을 상대하는 직업 특성상, 직접 책을 출간해 본다면 작가라는 직업군을 더욱 잘 이해할 것 같았다. 그렇게 ‘김키미’라는 브랜드의 첫 론칭 프로젝트이자 자신의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책 <오늘부터 나는 브랜드가 되기로 했다>가 만들어졌고, 그의 이름 옆에는 ‘작가’ 그리고 ‘브랜더 Brander’라는 새로운 명칭이 새겨졌다.

책을 내고 나서는 사이드 프로젝트를 활발히 이어갔다. 책을 매개로 한 북토크나 강연뿐 아니라 클래스 플랫폼 ‘클래스101’에서 퍼스널 브랜딩 수업을 여는가 하면, 큐레이션 플랫폼 ‘밑미’에서는 리추얼 모임을 진행하고, ‘초안클럽’이라 하는 아이디어 공유 모임의 멤버이기도 하다. 본업만 하던 때와 비교하면 해야 하는 일이 곱절은 늘어났지만 순전히 재밌어서 하는 일이니 괜찮다.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는 이유는 완전한 내 것을 만들고 싶어서였어요. 직장에서 하는 일은 마음대로 누군가에게 공개하기 어려워요. 그런데 사이드 프로젝트는 남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크레딧이나 라이프스타일을 자유롭게 공개할 수 있죠.” 회사라는 울타리를 벗어나니 인사이트도 훨씬 다방면에서 얻게 됐다. 느슨한 관계의 동료들이 늘어났고 이들로부터 얻은 영감은 회사 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회사 동료들한테도 사이드 프로젝트의 경험담을 공유하는 시간을 주기적으로 가져요. ‘키미의 경험 공유회’라는 이름으로 출간 경험을 공유하기도 했고요. 저의 경험을 나누면서 서로 성장하는 계기를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