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조깅에 빠져 있었다. 주 3회, 하루 30분씩 인터벌 러닝을 했다. 처음에는 5분 걷고 1분 뛰는 것도 숨이 차더니, 한 달이 지나자 2분 걷고 3분을 뛰어도 거뜬했다. 그러나 두 달이 넘어갈 즈음 정체기가 왔다. 일취월장하는 재미가 사라지자 이런저런 핑계를 대면서 러닝을 나가지 않게 되었다. 그 시기를 견뎠다면 목표로 삼은 마라톤 완주를 할 수 있었을까? 아무도 모를 일이다.
꾸준하게 한 가지 일을 하기 어려운 건, 그 결과를 알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나보다 앞서가는 이들과 비교하다 보면 내 방법이 맞는지 의심이 들고, 결심이 흔들리기 십상이다. 하지만 미래를 알 수는 없는 법. 이럴 땐 하나의 과정을 놓지 않고 계속해 온 이들의 성장 과정을 엿보는 게 도움이 된다. 그 이야기 속에서 미래의 내 모습을 발견할 수 있으니.
1000장이 넘는 메모를 통해 자신을 성장시킨 멜론 마케팅팀 팀장 노다혜, 선생님이란 안정적인 직업 대신 카페 주인을 택한 YM 커피 프로젝트 대표 조용민, 일하는 공간과 시간의 자유를 목표 삼아 달려온 사이드 콜렉티브 대표 정혜윤에게 질문을 던졌다.
“놓지 않고 계속하면 성장하나요?”
고등학교 2학년 때부터 광고인을 꿈꿨어요. 꿈을 이루기 위해 창의성을 키워야 했고, 메모는 그 수단이었죠. 순간순간 내가 느끼는 감정을 잘 포착해야 나만의 독창성을 기를 수 있으니까요. 덕분에 광고업계에 들어갔고, 그 이후 더 필사적으로 메모를 했어요. 단번에 좋은 아이디어를 낼 수 없으니, 질보다는 양으로 승부한 거죠. 일할 때는 물론이고 샤워하다가도, 잠을 자다가도 떠오르는 생각을 몽땅 적었어요. 그런 생활을 하다 보니 메모가 습관으로 자리 잡았네요.
메모 중 일부를 ‘다음 스토리볼’에 연재했는데요. 그걸 본 출판사로부터 출간 제안을 받았고, 노수봉이란 필명으로 첫 번째 책 <뜨끔뜨끈 광고회사人 메모장>을 냈어요. 메모가 새로운 길을 열어준 거죠. 곧장 두 번째 책 <호모 자취엔스>를 기획해 다시 메모를 수집하기 시작했고요.
지금은 멜론 마케팅팀에서 팀장으로 일하고 있어요. 광고 회사 아트 디렉터만큼이나 마케터도 메모를 활용할 일이 많더라고요. 노트 속 문장 한 줄이 MMA 같은 큰 행사나 K팝 아티스트 마케팅 프로젝트를 기획할 때 기둥 역할을 했어요. 특히 디지털 마케팅의 주요 수단인 SNS에서 빛을 발했죠. 디테일이 강한 콘텐츠만이 주목받을 수 있는데, 메모를 꾸준히 써온 게 섬세한 시선을 만들어주었더라고요. 저희 팀에서 만든 콘텐츠가 X(구 트위터) 실시간 트렌드에 140회 이상 등극했고, 소셜 이벤트나 캠페인 누적 참여 수도 1300만 회 이상이 되었어요.
한 장의 메모만 본다면 소소하게 느낄 수도 있어요. 영화를 감상할 때 우리는 하나의 멋진 시퀀스에 대해서만 이야기하잖아요. 근데 그 시퀀스를 만든 건 신(scene)이고, 신은 작은 샷(shot)이 모여서 이뤄진 거죠. 이처럼 매일 이룬 작은 성취가 쌓여야 성장이 된다고 믿어요. 그 과정에서 정체기도 오고, 어려움도 생기지만요. 그래서 제 성장 그래프는 마치 미국 주식을 닮았어요. 하루하루로 보면 등락이 있지만, 결국에는 우상향 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