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입 시기
사무실에 있는 책상을 가져와서 쓰다가 2년 전 건강상의 이유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프레임으로 바꿨다. 직접 제작한 상판을 그대로 얹어 스탠딩 데스크로 사용 중이다.

책상과의 시간
출근 전 오전 7시부터 9시까지, 퇴근 후 저녁밥을 먹고 나서 잠자기 전까지 최소 3시간에서 5시간 정도.

책상 앞 루틴
아침에는 빵과 커피로 간단한 식사를 하며 스케줄을 정리하거나 뉴스레터나 기사, 책을 읽는 등 여유로운 시간을 보낸다. 밤에는 앉자마자 일 모드에 돌입한다. 9시쯤에는 위스키 한두 잔을 마신다.

몰입하는 주제
토요일 오전까지 업무를 할 만큼 일에 열정을 쏟는다. 서비스센터를 구성하는 멤버들도 늘었고, 지금 시기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성장의 원동력
꾸준함. 일도 그렇고 내가 성장하는 유일한 방법은 꾸준히 노력하는 것뿐이다. 지난 시간을 돌아보면 반년에 한 계단씩 성장했다. 앞으로도 딱 그만큼씩만 성장하고 싶다.

전수민 디렉터가 이끄는 디자인 스튜디오 서비스센터는 2019년 시작한 이래 계속해서 의뢰한 브랜드와 함께 성장해 왔다. ‘우리는 브랜드와 함께 성장합니다’라는 슬로건 그대로다. 브랜드 전략, 디자인, 인테리어 등 서로 다른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팀원들은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늘 의뢰인과 브랜드의 성장을 돕는 파트너로 기능했다. 서비스센터 역시 의뢰인과 마찬가지로 시간과 능력을 아낌없이 투자해 브랜드의 성공 확률을 높인 것이다. “알을 스스로 깨면 병아리가 되지만, 남이 깨면 달걀 프라이가 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어요. 저희는 의뢰인이 알을 스스로 깨게끔 곁에서 코치한다는 점이 달라요.

오늘날의 서비스센터가 있기까지 전수민 디렉터는 책상 앞에서 노력과 발전을 차곡차곡 쌓아왔다. 10여 년 전, 디자인을 좋아한 순간부터 ‘내 일’에 대한 욕심을 한시도 내려놓은 적이 없다. 유년 시절부터 교회의 포스터 디자인을 도맡아 했으며, 심지어 군 복무 중에도 클라이언트 작업을 이어갔다. 더 효율적으로 일하고 싶었던 그는 전역하자마자 방 구조를 바꿔 일하고 싶은 공간으로 만들었다. “책상을 ‘사장님 방’에 있는 것처럼 가운데에 놓고 싶어 침대를 버렸어요. 방이 좁으니 우선순위를 정해 과감한 선택을 한 거죠. 그때부터 바깥에 나가지 않아도 집에서 일이 곧잘 됐어요. 책상의 배치가 일을 할 때 중요하다는 걸 알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