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입 시기
올해로부터 딱 10년 전, 공방을 열면서 마련한 책상들을 지금까지 쭉 쓰고 있다.

책상과의 시간
딱히 정해진 시간은 없이 일상처럼 거의 책상 앞에 앉아 있고, 오후쯤 작업을 시작할 때가 많다.

책상 앞 루틴
스피커를 켜고 그때그때 작업에 어울리는 음악을 튼다.

몰입하는 주제
그간의 경험과 지식을 책으로 남기고 싶어 종이와 인쇄 관련 책을 읽고 공부하고 있다. 앞으로 내가 하고 싶은 작업의 방향성을 정하는 데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성장의 원동력
가르치는 학생들이 순수한 열정으로 반짝반짝 빛나는 모습을 보며 많은 영감을 받는다.

북 아티스트 김유림은 마음이라는 미지의 영역을 북 오브제로 형상화한다. 한지를 한 땀 한 땀 실로 꿰어 만든 책은 다소 낯선 모습이다. 정사각형, 사다리꼴 등 형태도 크기도 제각각에, 텍스트라곤 한 자도 없다. “학부에서 문예 창작을 전공하며 글쓰기엔 재주가 없다고 생각했어요. 마음을 표현할 적확한 단어를 찾아 문장으로 만들기 어려웠어요. 대학원을 판화과로 진학해 책을 만들었는데, 감정적으로 힘든 시기에 직접 손으로 책을 엮으니 마음이 정돈되면서 위안을 받았어요.

유학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와 북 오브제를 만드는 공방 ‘사사로운 서가’를 연 것이 10년 전이다. 그때부터 책상 3개와 거대한 작두는 그가 수시로 사용하는 작업대 역할을 한다. 그 위엔 책을 누르는 북 프레스와 누름돌, 제목을 찍는 핫 스탬퍼 등의 갖가지 도구가 가지런히 놓여 있다. “표지를 만들 때 필요한 작두는 미국에서 샀어요. 성인 5명이 붙어도 옮기기 힘들 만큼 크고 무거워서 들여놓는 데 애를 먹었죠. 다른 도구들도 꽤 무거운 편이라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철제 빔 구조의 책상을 골랐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