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명
프리다 밀랍초 (PRIDA CANDLE)
의미
특별한 의미는 없다. 영어 이름을 찾다가 문득 ‘PRIDA’라는 단어를 떠올렸는데, 읽기 쉽고 표기도 예뻐서 선택했다.
탄생 시기
2016년, 네이버 ‘스토어팜’을 개설하며 브랜드를 론칭했다.
핵심 가치
표현과 공감. 예전에는 판매를 위해 대중적인 디자인에 집중했지만, 이제 순간순간의 생각을 캔들 디자인에 담고 싶다. 우리의 표현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초를 사용하며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가면 좋겠다. 나날의 생활 속 버릇처럼 밝혀보는 방점. 우리의 밀랍초가 작지만 따뜻한 위로가 되길 바란다.
브랜드 준비 초기에 가장 많이 했던 질문
Q. 어떻게 하면 공방이 아닌 ‘브랜드’로 인식될 수 있을까?
당시에는 밀랍초 브랜드가 거의 없었다. 양봉장을 비롯한 전통적인 생산자 위주로 밀랍초를 판매하는 정도였다. 우리는 브랜드의 형식을 갖추고, 젊은 감각으로 밀랍초를 판매하는 곳으로 각인되고 싶었다.
성장 포인트
건강한 아름다움. 밀랍 고유의 향과 색을 살려 손수 초를 만든다. 비닐 포장을 줄이고, 친환경 소재 사용을 지향한다. 길을 걷다 발밑에 핀 꽃을 보면 밟지 않도록 피하는 것처럼 친환경은 본능적인 것이라 생각한다.
향초가 아닌 밀랍초는 조금 낯설어요. 밀랍초를 만들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김현주 원래 집에서 초 태우는 걸 좋아했어요. 남편의 권유로 직접 향초 수업을 듣게 됐는데, 마지막 강의에서 밀랍초 만드는 법을 배웠어요. 소이 왁스 향초는 진한 향 탓에 머리가 아팠는데, 밀랍초는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아서 무향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향만 나요. 게다가 노란색이 예쁘잖아요.
밀랍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줄 수 있나요?
김현주 밀랍은 벌의 분비물이자 벌집의 주 성분인 천연 밀랍, 꿀, 프로폴리스가 혼합된 것이에요. 천연 밀랍은 투명하지만, 꿀과 프로폴리스가 섞이면서 노란색을 띠죠. 꿀의 색이나 정제 과정에 따라 조금씩 다른 색을 내고요. 국산 밀랍은 얻을 수 있는 양이 한정되어 있기에 전국의 여러 양봉장에서 수급해요.
김윤수 과학적으로 설명할 순 없지만, 초를 만들면서 색이나 향, 수축률 등 다양한 밀랍의 차이를 체감했어요. 이제는 경험치가 쌓여 좋은 밀랍을 구별하고 사용할 수 있어요.
밀랍 외에 다른 첨가물을 더하지 않는 것은 친환경적인 이유 때문인가요?
김현주 자연에서 온 재료만으로 만든 밀랍초가 환경 측면에서 장점이 많은 건 사실이에요. 하지만 그 이유만은 아니에요. 초를 만들다 보니 밀랍만으로 충분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음식을 만들 때도 재료가 좋으면 별다른 걸 더하지 않잖아요. 재료 본연의 성질과 순수한 아름다움에 집중하고 싶었어요.
정제부터 포장까지 모든 과정이 두 분의 손을 거쳐 간다고요. 힘들진 않나요?
김윤수 밀랍을 만들려면 우선 밀랍을 끓여서 정제해요. 그다음 형태에 따라 손으로 여러 번 녹인 밀랍에 담그거나 몰드에 부어서 굳혀요. 밀랍을 녹이는 데만 3시간 가까이 걸려요. 녹인 밀랍에 심지를 넣고 빼기를 반복해서 만드는 담금초는 크기에 따라 작업에 5시간이 걸리기도 해요. 처음엔 정말 하나씩 하나씩 완성하다가 이제는 도구를 만들어 몇 개를 한꺼번에 만드는 등 나름 노하우가 생겼어요. 솔직히 말하자면 밀랍마다 특성이 다르고, 수작업으로 만들다 보니 결과물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도 있어요. 하지만 내 마음가짐이 제품에 고스란히 드러나기 때문에 깊은 애정으로 최선을 다해 제작에 임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