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명
슈퍼파인(Superfine)

의미
영어권에서는 진짜 기분이 좋을 때 “슈퍼 파인”이라고 말한다. 직관적으로 슈퍼마켓을 떠올릴 수 있고, 이웃에게 건내는 인사이기도 하다.

탄생 시기
2023년 4월

핵심 가치
마켓과 로컬 커뮤니티를 아우르는 지속가능성을 놓치지 않으려고 한다. 내가 소비하는 것이 나뿐만 아니라 공동체에도 선한 영향력을 끼치길 바란다.

브랜드 준비 초기에 가장 많이 했던 질문
Q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비즈니스 모델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잡을까?
수익을 위해서는 해야할 것이 명확하지만 그것만 고려하면 전달하려는 메시지가 희석된다. 지금도 둘 사이에서 줄 다리기를 어떻게 할지 고민하고 있다.

성장 포인트
슈퍼파인에서는 이웃주민과 함께 호흡하면서 의미 있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 불편을 해결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 재미있는 이벤트를 경험하는 것만으로도 자연스럽게 가치소비가 이뤄진다.

성수동에 일상의 공간인 슈퍼마켓을 열었어요.
슈퍼파인은 ‘의미 있는 즐거움을 선사하는 슈퍼마켓’을 지향해요. 철학 있는 로컬∙스몰 브랜드나 생산자를 조명하고 있죠. 공간적으로는 편의점에 밀려 지금은 사라진 슈퍼마켓을 재해석했어요. 어렸을 때 슈퍼마켓에서 쌓았던 다양한 추억이 아직도 생각나거든요.

어떤 기억들인가요?
어린 시절을 시골에서 보냈어요. 친구가 슈퍼마켓집 아들이었는데, 거기서 동네 애들은 쭈쭈바를 먹으며 뛰어놀고 어른들도 평상에 앉아 오순도순 이야기를 나눴어요. 슈퍼마켓이 단순히 소비하는 공간이 아니라 지역 주민들의 사랑방이었죠. 그런 것들을 요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현대적인 방식으로 구현하고 싶었어요.

대표로 있는 와이어즈에서 진행했던 프로젝트 중에도 공간 브랜딩이 다수 있었죠.
와이어즈에서는 고객사의 브랜드를 디자인하고 마케팅했어요. 다양한 분야 중에서 공간을 다룰 때 재미를 느꼈고, 결과도 좋았어요. 속초의 서점 겸 게스트하우스 ‘완벽한 날들’과 카페 ‘칠성조선소 북살롱’, 용인의 카페 ‘묵리459’ 등의 프로젝트에 참여했죠. 그 과정에서 오프라인 공간이 특별한 콘텐츠를 전달하고 지역 문화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걸 깨달았어요. 우리 스스로 그런 브랜드 공간을 만들고 싶었고, 슈퍼마켓을 떠올린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