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여성 집수리 기사.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많이 떠올린 질문
Q. 여성 수리 기사는 왜 찾아보기 힘들까?
여성과 남성이 지원하면 남성을 채용하는 게 이 분야인데, 여성들은 정말 이런 일을 할 수 없는 걸까 하는 의문이 가장 컸다.
일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우리가 가진 가치를 훼손시키지 않는 것. 단순히 기존의 남성 수리 기사를 여성으로 대체할 것이란 생각이 아니라 이 업계가 가진 시스템 자체를 바꾸는 게 목표다.
여성을 위한 집수리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어요.
고등학교 3학년 때부터 혼자 살았어요. 집을 여러 번 옮기면서 여기저기 고칠 일도 많았는데, 그럴 때마다 두 가지 고민이 있었어요. 하나는 너무 불편하고 불친절하다는 거예요. 요금을 미리 알 수도 없고 거의 현금 지불을 강요받다시피 하고요. 두 번째는 여성 1인 가구로서 느끼는 불안감이었습니다. 저는 수리 기사의 전화번호 정도밖에 모르는데 상대방은 나의 집 주소, 주거 환경, 전화번호까지 모든 정보를 알고 있잖아요. 여성들이 제공하는 집수리 서비스가 있으면 정말 편하게 이용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어요.
라이커스(LIKE-US)라는 이름에 담긴 뜻은 무엇인가요?
‘우리와 같은’ 사람들을 위한 서비스라는 이름이에요. 수리를 하는 사람이나 수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 모두 여성이라는 의미에서요. 현재 서울, 인천 및 경기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요.
라이커스의 첫 시작이 궁금해요. 우선 집수리 기술을 배워야 했을 텐데요.
처음에는 집수리 분야가 너무 광범위하다 보니 우왕좌왕했어요. 그러다가 지인이 한국주택환경연구원이라는 사설 교육 기관에서 교육을 받았다고 알려주셔서 찾아갔죠. 그곳의 커리큘럼이 딱 제가 배우기 적합한 내용이었어요. 도배나 장판, 타일 같은 분야는 전문적으로 공부해야 하지만, 저는 얕고 넓게 최대한 많이 알고 싶었거든요. 혼자 하기에는 어렵고 인테리어 업체를 부르기에는 너무 번잡스러운, 애매하고 사소한 부분들을 수리하고 싶었어요. 기존의 철물점 사장님들이 해오시던 영역이죠. 교육 기관에 등록해서 한두 달 정도를 배웠고, 실습을 했고, 또 현장에 다니며 경험치를 쌓았습니다. 첫 오픈 때는 체험단을 모집했어요. 부품비만 받고 무료로 수리를 해드리는데 대신 처음이다 보니 소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며 양해를 구했고요. 금요일에 체험단 모집 글을 작성해 올린 뒤 ‘10명만 됐으면 좋겠다’라고 생각했는데, 주말 동안 100명 가까이 신청해 주셨어요. 웹사이트에 과부하가 걸려서 접속이 안 될 정도로 인기가 많았던 거죠.
첫 수리 현장은 어땠는지 기억나나요?
기억나죠. 천장까지 이어진 긴 신발장의 경첩을 새로 다는 일이었어요. 사실 기술 교육에서 굉장히 간단하게 넘어가는 부분인데, 신발장이 길다 보니 경첩이 워낙 많기도 하고 제가 알던 부품과 다르더라고요. 다행히 가져간 부품이 맞기는 했는데, 굉장히 서툴고 오래 걸렸던 기억이 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