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만화가이자 작가인 마스다 미리는 어느 책에서, 자신은 대부분의 것들에 크게 흥미가 없는 사람이라고 고백한 적이 있다. 그럼에도 새로운 것을 발견하면 어쨌든 한번은 해본다고 했다. 귀찮고 힘들지만, 그것을 만난 후의 자신이 어떻게 변할지를 알고 싶다는 이유에서다.
나는 비슷한 시간에 일어나고 비슷한 시간에 자고 같은 길을 산책하고 같은 카페에 가는, 그런 틀에 박힌 일과를 좋아한다. 그러면서도 이사하는 것을 좋아하고, 집 안을 뒤엎어 구조를 바꾸는 것을 좋아하고, 낯선 요리를 만들어보는 것을 좋아하고, 내가 다른 나라에서 태어난 다른 사람이라면 어떨까 하고 상상하는 것을 좋아한다.
그리고 나는 책이나 영화를 보다가 발견한 흥미가 생긴 일들은 꼭 따라 해보는 편이다. 얼마 전에는 한 작가가 매일 아침 일어나면 차부터 우린다고 쓴 글을 보고 눈 뜨자마자 물을 끓여 찻잎에 솔솔 부어 마시기 시작했고(성공), 대만 감독이 만든 어떤 영화를 보고는 천천히, 다정하게 말하는 법을 연습하기 시작했고(실패), 또 어떤 미국 영화를 처음 봤을 때는 뵈프 부르기뇽을 만들어봤다(실패).
내게 뵈프 부르기뇽을 만들어 보고픈 충동을 불러일으킨 영화 <줄리&줄리아>는 프랑스 요리를 하는 두 미국 여자에 대한 이야기다. 영화는 미국인의 가정마다 한 권쯤은 꽂혀 있을 유명한 프랑스 요리책 <프랑스 요리의 달인이 되는 법>을 쓴 줄리아 차일드가 외교관의 이름 없는 부인으로 파리의 코르동블루에서 요리를 배우는 1950년대와, 평범한 공무원인 줄리 파월이 이렇게 아무것도 아닌 채로 살아가다가 아무것도 아닌 채로 죽을지도 모른다는 존재론적 불안감에 시달리는 2000년대를 교차해 보여준다.
이 영화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사람은 줄리다. 공공기관에서 상담 전화 받는 일을 하는 줄리는 어느 날 갑자기 프랑스 요리를 만들어보기로 결심한다. 줄리아 차일드의 <프랑스 요리의 달인이 되는 법>에 나온 모든 요리를 1년 동안 마스터하고 그 이야기를 블로그에 쓰는, 얼핏 들으면 즐거워 보이지만 실제로는 등허리가 휘고 뼛골이 빠질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한 것이다.
“요리가 왜 좋은지 알아? 직장 일은 예측 불능이잖아. 무슨 일이 생길지 짐작도 못 하는데 요리는 확실해서 좋아. 초콜릿, 설탕, 우유, 노른자를 섞으면 크림이 되거든. 맘이 편해.” – <줄리&줄리아> 중 줄리의 대사
그러나 줄리의 프로젝트는 생각처럼 순탄하게 흘러가지 않는다. 퇴근 후 월급을 탈탈 털어 사 온 온갖 비싼 식재료로 비좁고 낡은 부엌에서 열심히 요리를 한 이야기를 블로그에 써봤자 아무도 읽지 않고, 엄마는 대체 왜 그런 짓을 하느냐며 당장 그만두라고 어깃장을 놓는다. 줄리는 실망하고 기운이 빠지지만, 그녀에게는 남편 에릭이 있다. 에릭만은 줄리가 만든 요리를 맛있다며 칭찬해 주고, 일이 잘 안 풀려도 곧 잘될 거라고 위로해 주고, 아내의 프로젝트를 응원해 주며, 절망에 빠진 아내를 진정시키고 분노를 잠재우도록 할 줄을 안다. 그러니까 이 존재는 뭐랄까, 남편이라기보다는 맹수 조련사 같은 것이다.
그렇다. 맹수에게는 조련사가 필요하다. 나는 이 영화 <줄리&줄리아>가 30대를 목전에 둔 한 여성의 자아 찾기 프로젝트임과 동시에, 우리에게 사랑이, 우정이, 동거인이, 반려자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주는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인간은 반드시 홀로 서야 한다고 믿을 때 삶의 무게는 얼마나 무거워지는가. 혼자서 가는 길은 얼마나 쓸쓸한가. 그냥저냥 ‘못난 놈들끼리는 얼굴만 봐도 즐겁다’는 말을 가슴에 아로새긴 채 ‘오늘 너 화장이 기가 막히게 잘 받은 것 같다’, ‘너는 뭘 해도 잘될 놈이야’ 하고 맘에 없는 소리, 하나 마나 한 소리를 포크레인으로 떠서 서로에게 퍼부어도 사는 건 겨우 견딜까 말까 한 것이 아니던가.
줄리에게 조련사 에릭이 있다면, 줄리아에게는 수호천사 폴이 있다. 남자처럼 덩치가 크고 목소리도 이상한 줄리아는 남들이 보기에는 별스럽고 우스꽝스러운 아주머니일 뿐이다. 하지만 폴은 그런 줄리아를 진심으로 사랑하고 응원해 준다. 요리 학교에서 무시당할 때, 책 출간이 8년이나 미뤄지고 또 미뤄질 때도 줄리아가 절망에 깊이 빠지지 않을 수 있었던 이유는 모두 폴의 헌신적인 지지 덕분이었다.
줄리와 줄리아의 도전이 어쩐지 너무 거창하게 느껴진다면, 내게는 반려자도 배우자도 조련사도 없다면, <거북이는 의외로 빨리 헤엄친다>의 주인공 스즈메의 스파이 되는 법을 참고해 봐도 좋겠다. 어릴 때부터 어정쩡하고 평범했던 스즈메는 평범한 학창 시절을 마치고 평범한 남자와 결혼해 평범한 결혼 생활을 하고 있다. 언제나 똑같은 하루, 존재감 없는 자신. 이렇게 평범하게 살아가다가 결국 모두에게 잊힌 채 사라진다면 얼마나 허무할까 싶다. 그럴 때 스즈메가 내린 결론은 이것이다. ‘해외여행이나 갈까?’ ‘파마나 할까?’
나는 이 장면을 보고 웃음을 참을 수가 없었다. 뭐 저런 웃기는 애가 다 있어? 인생이 허무한데 왜 갑자기 해외여행이야? 그런데 사는 게 허무할 때 나는 대체 뭘 했지? 가만히 생각해 보니 술을 마시거나… 파마를 하거나… 여행을 갔던 것 같다. 당황스러웠다. 역시 그런 거구나. 인생이 허무하게 느껴질 때 의외로 할 수 있는 것은 별로 없구나.
그런데 우리의 평범한 스즈메는 어느 날 동네 계단 한구석에서 ‘스파이 모집’이라고 쓰여 있는 손톱만 한 크기의 전단을 발견한다. 스즈메는 평범한 자신에게서 탈피하기 위해 스파이 면접을 보러 가는데, 면접 장소는 허름한 가정집, 면접관은 그냥 아저씨 아주머니다. 심지어 이 스파이 부부는 스즈메를 보자마자 단번에 합격을 외친다. 구직자 본인조차 초고속 합격에 어리둥절해 있는 와중에 스파이 부부는 그 이유를 이렇게 말한다. “평범해.”
스즈메가 스파이로 발탁된 이유는 완벽하게 평범하기 때문이다. 눈에 띄지 않는 것, 평범한 것, 어중간한 것. 스즈메를 허무하게 만들었던 단점들이 이제는 장점이 되어버린 것이다. 그리하여 얼떨결에 스파이가 된 스즈메의 임무는 잠복이다. 본국에서 지령이 내려올 때까지 누구의 눈에도 띄지 않게 평범하게 살아야 한다. 임무는 오직 평범하게 사는 것뿐이다.
“스파이라고 생각하니 뭘 해도 두근거린다.” – <거북이는 의외로 빨리 헤엄친다> 중에서 스즈메의 대사
분명 어제와 똑같은 하루인데 스파이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하니 마음가짐이 사뭇 달라진다. 이제 스즈메는 평범함의 정의를 새롭게 내려야 한다. 늘 하던 행동도 왠지 신경이 쓰인다. 이를테면 이불은 어떤 식으로 널어야 평범한 걸까? 평범한 주부는 슈퍼에서 어떤 치즈를 고를까? 레스토랑의 메뉴 중 평범한 메뉴는 대체 뭘까?
사실은 스즈메처럼 잠복 중인 스파이였던 동네 라멘집 주인 역시 평범한 맛을 내기 위해서, 사람이 너무 많이 오지도, 그렇다고 너무 안 오지도 않는 맛을 유지하기 위해서 지난 십수 년간 열과 성을 다해 왔다. 두부 가게 주인도, 공원 벤치 할머니도, 상가 방송을 하는 아주머니도 올지 안 올지 모르는 지령을 기다리며 동네 구석구석에서 정성껏 평범히 살아왔다. 스즈메는 이제 별것 없어 보이는 일상의 이런 뒷모습을 알게 되어버렸다. 그 인생은 지금까지의 인생과는 다른 것이다.
이런 사람들을 생각하는 일은, 세상의 이면을 발견하는 일은, 전철을 타고 반대쪽 철로를 달리는 전철 속의 사람들을 스쳐 지나가는 일과 비슷할 거라는 느낌이 든다. 나란히 놓인 철로를 따라 달리다가 이내 다른 방향으로 꺾어져 사라져버리는 전철과 그 안의 사람들을 볼 때마다 나는 어쩐지 그 반대쪽 전철 안에 나 자신의 일부가 옮겨 간 것 같은 기분이 든다. 나 자신의 일부는 반대쪽 방향으로, 다른 삶을 향해 떠나버리는 것이다. 나는 그 전철 안의 사람들에게, 그들의 인생에 무한한 호기심과 호감을 느낀다. ‘어이, 그쪽의 인생은 어떻습니까?’ 하고 묻고 싶어진다.
인간의 삶이 한순간에 달라지는 일이란 잘 일어나지 않는다. 새로운 것을 시도한다는 것은 자기 계발서에 나오는 말들처럼 쉽거나 간단한 일은 아니다. 사실 변화란 건 대개 수십 년간 치아를 제대로 닦지 않아 결국 임플란트를 해 넣어야 하는, 그런 식으로 일어나는 게 아닐까. 결국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란 매일 이를 꼼꼼히 닦는 정도의 작고 꾸준한 노력이 전부다.
그러니 뭔가를 시도할 때는 처음부터 완벽하게 잘할 거라는 기대를 버리는 게 낫다. 뭐든 끝까지 해본 적이 없는 줄리에게는 요리 프로젝트를 시작한 후부터는 수란 하나 만드는 것도 도전이다. 수도 없이 많은 달걀국을 끓인 후에야 제대로 된, 탱글탱글한 수란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처음엔 잘 안 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해야 다음 스텝이 있다. 언제나 그렇다. 나 같은 사람은 새로운 일을 시작할 때마다 ‘아아, 이번엔 또 어떻게 망하려나?’를 늘 생각하는 편이다. 이렇게 하면 망해도 정신적 충격이 덜한 데다 결과를 담담히 받아들이고 당연한 듯 다음 스텝을 도모할 수 있다. 좀 구차하긴 해도 나쁘지 않은 방법이다. 추천해 드린다.
줄리의 하루하루가 그랬듯 삶을 변화시킨다는 것은, 그것이 고작 자신의 집 작은 부엌에서 일어나는 일일지라도 기쁨과 슬픔이 함께하는 것이다. 성취감과 절망이, 행복과 불행이, 만족과 짜증이 같이하는 것이다. 그 지난한 과정을 거친 끝에 어느새 그는 인생의 다른 국면에 서 있다. 마치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반대편 방향의 전철에 올라타 있는 것처럼.
그러나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런 것이다. 스즈메가 스파이 되기를 통해 세계의 이면에 숨겨진 새로운 세계를 발견한 것처럼, 줄리는 자신의 요리 프로젝트를 통해 그 작은 부엌에서 하나의 세계를 만들어냈다. 프랑스 요리와 줄리아 차일드와 줄리 파월의 세계를. 성실하고 아름답고 먹음직스러운 세계를. 그리고 내 손으로 하나의 세계를 만들어낸다는 일은, 어쨌거나 세상에서 가장 멋진 일 중의 하나가 아닌가 싶다.
Writer 한수희
책과 영화에 대한 칼럼을 쓴다. 틈틈이 본인 이야기도 쓴다. 쓰고 싶을 때 쓰고 싶은 것을 쓰고, 하고 싶을 때 하고 싶은 일을 한다. 느슨할지언정 꾸준하게 늘 무언가를 하며 살아간다. 그가 쓴 책으로는 <조금 긴 추신을 써야겠습니다>,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아주 어른스러운 산책>, <우리는 나선으로 걷는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