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우리는 중독을 사랑해>는 자전적인 이야기이지만 많은 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에요.
모두 제 이불 속에서 나온 콘텐츠들이죠. 저는 이걸 ‘디지털 이불’이라고 표현을 하는데 알고리즘의 세계에 파묻혀 안락하게, 정신없이 유영하는 시간들을 돌아보며 낸 책이에요. 저처럼 디지털 이불 속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는 사람들을 생각하며 이 이야기들을 나누고 싶었어요. 처음에는 제 또래 청년들에게만 해당되는 이야기라고 생각했는데, 주변을 둘러보니 아니더라고요. 어머니도 요즘엔 TV가 아니라 인스타그램 쇼츠, 돋보기 탭에 있는 자기 계발서 같은 내용이나 ‘생활 꿀팁’ 콘텐츠를 보면서 저에게 DM을 보내는 일이 많아졌어요.
도파민을 좇아 콘텐츠를 소비하는 일이 왜 위험한 걸까요?
요즘 유행하는 콘텐츠에는 기승전결이 없고 주로 ‘결론’만 있어요. 마음의 여유를 빼앗아 가는, 혹은 스스로 빼앗기게 놔두는 자극적인 서사들이 주를 이루죠. 그럴수록 다양한 생각의 방식을 잃게 되고 ‘밈’에 의탁한 사고방식에 빠질 수 있어요. 누군가 공인이 잘못을 했을 때, 그 사람을 빨리 ‘디지털 화형대’에 올려서 조리돌림을 하고 사과문을 얻어내려는 마음이 대표적이죠. 요즘 유행하는 연애 프로그램을 보면서 출연자들을 깔보고 조롱한다든지, 그 사람들을 두고 이러쿵저러쿵하는 댓글들을 보는 데 시간을 많이 쓴다면 ‘나 요즘 이상한데?’ 하고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아요. 다양한 삶의 서사를 잃어버리면 결국에는 명절마다 스몰 토크랍시고 “너는 언제 취업하니?”, “언제 결혼하니?” 같은 말만 되풀이하는 어른이 되어버릴 수 있는 거죠.
가장 중독되기 쉬운 건 뭐라고 생각하나요?
‘좋아요’가 대표적이죠. 조회 수, 좋아요 개수 등 눈에 보이는 수치에 따라 가치가 정해지는 것 같아요. 이러한 디지털 평판은 눈에 보이기 쉬운 이미지적 삶을 중심으로 굴러가요. 하지만 생각보다 ‘좋아요’나 팔로어가 많지 않은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눴을 때 훨씬 흥미로운 대화가 가능하다는 걸 자주 경험해요. ‘좋아요’를 많이 회수할 수 없는 성정의 사람들과 그들의 이야기들이 아주 중요한데 많이 가려져 있어요.
실제로 여유가 없는 사람일수록 더욱 디지털 세계에 몰입하게 된다는 악순환도 있죠.
소위 말하는 ‘문화 자본’이 없는 사람들일수록 손쉬운 중독에 빠지죠. 가난하면 불량 식품을 많이 노출될 수밖에 없듯, 자극적인 콘텐츠를 찾게 되니까요. 문화자본이 있더라도, 긴 노동 시간에 시달리는 등 정신적 여유가 소진되면 도파민 중독이 되기 쉽죠. 예를 들어 저의 경우에는 사주나 타로 콘텐츠가 내려주는 ‘인생 스포일러’를 통해 제 인생의 불안을 누그러뜨리거나, 상대방과 직접 대화하는 시간을 마련하는 대신 ‘심리 궁예’를 해주는 심리학 콘텐츠를 보게 되더라고요.
‘디지털 디톡스’, ‘도파민 디톡스’가 유행하지만, 그 끝은 늘 ‘인증샷’이라는 것에 문제의식도 느껴요.
디톡스도 하나의 상품이 돼버렸죠. 요새 유행하는 책들에서 말하는 ‘디톡스’를 살펴보면 비행기를 타고 멀리 여행을 떠나거나, 고즈넉한 산사에 들어가는 이미지들이 겹쳐져요. 그만큼의 물리적∙경제적 여유를 가진 사람은 실제로 많지 않죠. 심지어 디톡스 챌린지 혹은 모임 같은 것도 생겨났어요. 돈을 내고 디톡스를 사는 게 유행처럼 돼버렸죠. 마치 지금 탕후루 같은 디저트가 폭발적으로 인기를 끄는 한편, ‘제로 칼로리’에 집착하는 현상이 있는 것처럼 동전의 양면이라고 봐요. 도파민을 자극하는 콘텐츠들이 넘쳐나면서 디톡스 프로그램들이 인기를 끄는 거죠. 그러면서 이미지적으로 ‘예쁜’ 디톡스만 부각됐다고 느껴요. 어찌 보면 디톡스 과정은 정말 매끄럽지 않고 못생겼을 수도 있는데 말이죠. 새로운 디톡스를 상상해야 할 때예요.
새로운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을까요?
너무 거창하고 완벽한 디톡스가 꼭 필요하진 않아요. 중독에서 헤어나기 어려운 이유는 고립돼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거든요. 다른 사람들을 직접적으로 만나 이야기하며 나 스스로에게서 조금이나마 벗어나는 경험을 하는 것 같아요. 그런데 보통 다른 사람을 찾는다고 가정할때 대체로 어떤 식으로든 ‘사회적 성공’을 한 사람들을 떠올리기 쉬운 것 같아요. 그 사람들과의 만남은 기존의 나를 동어반복하게 만드는 만남이에요. 하지만 오히려 우리가 진정 만나야 하는 타자는 그 사회적 성공과 먼 존재들이에요. 물론 그 만남은 시혜적이지 않은, 불편하거나 귀찮을 수 있는 ‘평등’의 관점이 있어야 해요. 기존의 나를 확장시키는 만남이죠.
트렌드를 알아야 성장할 수 있다는 생각에 중독을 끊어내지 못하기도 해요.
요즘은 중독이 삶의 일부라고 생각해요. 조금 웃긴 밈 버전으로 이야기하자면, 코미디언 문상훈 씨의 “이따위 꼬라지로 언제까지 살 거냐고”라는 짧은 영상이 있는데 마지막에 “생각해 보니 평생 살아옴”이라는 자막이 나와요. 사람들이 중독에 빠지는 것은 나만 이렇게 잘 못 사는 것 같고, 스펙을 쌓아야 할 것 같고, N잡을 하면서 사람들과 네트워킹을 해야 할 것 같은 조바심이 큰 원인이라 생각해요. 그냥 완벽하지 않고 조금은 이상한 나를 받아들이면서 살면 안 될까요? 어느 정도는 뻔뻔함이 필요해요.
마음가짐을 달리하는 게 필요하겠네요.
잘 싸우는 것도 중요할 것 같아요. 내게 소중한 것들을 지켜 나가려면 적을 잘 설정해야 하죠. 예를 들어 메타, 유튜브 같은 기업이 알고리즘으로 사람들을 실험 쥐인 양 실험하는 것에도 경계심을 가져야겠죠. 누가 내 삶을 자꾸 침범하고 괜찮은 삶을 괜찮지 않다고 강요하고, 약자들을 위협하는 세태가 보이는 순간 비판적인 시선을 유지해야죠.
중독될 것이 너무나도 많은 세계에서 나를 지키는 가장 큰 무기는 뭘까요?
‘내면의 정원’을 가꾸는 게 중요할 것 같아요. 남이 볼 때 쉽게 손에 잡히지 않고 단번에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나만의 영역을 만들어가는 게 정말 중요해요. 아까 말했듯 ‘좋아요’를 많이 회수할 수 없는 나만의 못생긴 면들이죠. 지금 삶이 가난하고 힘들고 누가 볼 땐 바보 같은 삶일지라도 나만의 믿을 구석이 있다고 생각하게 되거든요. 특히 글쓰기는 특정한 이미지를 벗어난 서사를 만드는 행위라는 점에서 꼭 추천드려요. 어떻게 쓰냐에 따라서 온전히 나만의 세계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이거든요. 누구에게 보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쓸모는 없을지라도 오로지 타협할 수 없는 나만의 내면을 넓히기 위해 쓰는 글 말이에요.
Interviewee 칼럼니스트 도우리
일상에서 누구나 한 번쯤 고민하는 중독의 이야기를 책 <우리는 중독을 사랑해>로 엮어냈다. <한겨레21>, <닷페이스>, <미디어스>, <플랫폼P> 등에 글을 썼다. 글쓰기에 대한 믿음을 잃지 않고, 쓰는 사람들이 소중하다는 생각을 하며 살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