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치앙마이에서 매료된 것
복태 치앙마이 여행 중 우연히 핸드메이드 옷가게에 들렀다. 심플한 디자인이지만 정말 예뻤다. 소수 민족이 만든 옷이라고 하더라. 옷을 사서 나오는 길에 어떤 남자가 바느질하는 모습에 반해 수업을 부탁했다. 그가 우리의 바느질 스승이 된 액(Eak)이다. 직접 배워보니 말도 안 되게 쉽고 단순한 재단법이 놀라웠다. 줄자로 치수를 재거나 패턴 표를 만들 필요 없이, 우리 몸을 이용해 재단하다니. 게다가 재봉틀 대신 손바느질로 옷을 만들 수 있다는 게 충격적이면서도 재미있었다. 한동안 마음에 드는 원단을 발견할 때마다 나와 아이들의 옷을 만드는 재미에 푹 빠졌다. 사람들이 ‘예쁘다’, ‘입어보고 싶다’고 해서 바느질을 알려주기 시작한 것이 소문이 났고, 곧 워크숍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한군 복태가 바느질을 시작한 이후 우리는 거의 매년 치앙마이를 찾았다. 어느 날 스승님의 재킷에 놓인 자유로운 자수를 보고 완전히 새로운 영역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게 됐다. 그때 ‘나도 해봐야겠다’고 생각했다. 치앙마이 자수에 매료된 순간이었다. 복태는 바느질을 기반으로 한 옷 만들기, 나는 치앙마이 자수 워크숍을 진행하고 있다.
바느질이 선사하는 몰입
한군 막상 배워보니 복태가 왜 바느질에 푹 빠졌는지 알겠더라. 빠르게 몰입되고 잡념이 사라졌다. 부산스러운 마음이 순식간에 가라앉는 걸 느낄 수 있었다. 어릴 적부터 그림을 그리거나 손으로 뭔가 만드는 것을 좋아했는데, 바느질이야말로 진정 새로운 언어였다. 음악이 소리와 언어로 감정을 표현한다면, 바느질은 실과 바늘로 감각을 묘사할 수 있다. 창작의 새로운 도구를 찾은 셈이다.
복태 아이들과 함께 있을 땐 음악에 집중하기 어렵다. 음악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것도 쉽지 않다. 바느질은 언제든 할 수 있고 원할 때 멈출 수 있는 데다, 수업을 열어보니 음악보다 수요가 많더라. 바느질이 우리의 생계를 더 잘 책임질 수 있겠단 생각마저 든다. 음악이 나만을 위한 몰입이라면, 바느질은 몰입하면서 소통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죽음의 바느질 클럽’의 의미
한군 초창기엔 워크숍을 9시간씩 진행했다. 바느질에 몰입하다 보니 사람들이 집에 안 가더라(웃음). 그중 한 분이 기지개를 켜면서 “이거 완전 죽음의 바느질 클럽이잖아?”라고 말한 데서 우리의 이름이 출발했다. 불교식으로 말하자면, 바느질을 할 때 번뇌, 번잡스러움, 소란스러움이 가라앉는다. 처음에는 농담조로 지은 이름이지만 그런 평온한 마음의 상태랄까, 죽음의 작용을 이야기하는 측면이 있다. 한번 시작하면 너무 재미있어서 죽기 전까지 멈출 수 없다는 뜻도 담겨 있다.
스승님으로부터 배운 정신
복태 ‘노 하드 앤 릴랙스’. 죽음의 바느질 클럽의 슬로건이다. ‘힘을 빼고 덜 열심히 하는 것’을 치앙마이 정신이라고 부른다. 너무 열심히 하지 말라는 건 바느질 기법에도 적용된다. 특히 한국 사람들은 옷이 짱짱해야 한다는 강박 때문에 바느질을 빡빡하게 하는데, 치앙마이식 바느질은 힘을 주면 원단이 울어 옷이 안 예뻐진다. 오히려 적당히 힘을 빼야 더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바느질 스승님과 태국 친구들에게서 배운 정서다. 즐거울 만큼만 열심히 하고, 무리하지 않기.
한군 다들 할 일이 너무 꽉 차 있다. 5분, 10분 단위로 시간을 쪼개 쓰는 게 잘 사는 거라고 여긴다. 반면에 바느질은 우리가 시달리고 있는 것에서 빠르게 벗어날 수 있게 해준다. 삶 역시 바느질처럼 느슨하고 여유 있어도 괜찮다.
하지 않으려는 것
한군 통성명을 하지 않는다. 무슨 일을 하든, 몇 살이든, 클럽 안에서는 바느질이라는 언어로만 소통한다. 이 공간에 들어왔을 때 완전히 다른 세상을 만났다는 느낌을 주고 싶어서다. 우리가 치앙마이라는 낯선 세계에서 바느질을 배우며 느낀 생경한 감각을 여기 온 사람들도 느꼈으면 한다. 이곳에는 시계도 와이파이도 없다.
복태 비교하는 말이나 평가하는 피드백은 절대 하지 않으려고 한다. 대신 수업 시간에 “쉬엄쉬엄 하세요”, “즐겁지 않으면 멈춰도 좋아요”, “힘 빼세요”, “괜찮아요”라고 말한다. 같은 기술을 익힌다고 해서 모두가 같은 결과물을 내는 것은 아니다. 각자의 바느질이 있다.
한군 다들 칭찬 지옥에 왔다고들 한다(웃음).
단순함의 미학
한군 치앙마이 자수는 고산족의 전통문화이다. 스승님마다 스타일은 모두 다르지만, 기법 자체는 단순하다. 예를 들면 홈질, 감음질 두 가지 기본 기법만으로도 무수히 많은 변형을 줄 수 있다. 최소한의 재료로 최대의 창작물을 만들어내는 셈이다. 과연 ‘더 화려하고 다양한 기법이 필요할까’ 하는 의문이 들 정도다. 스티치에는 그분들의 삶이 담겨 있다. 농경 사회에서 그들이 항상 마주하는 별, 밭, 논, 식물을 그려낸다. 느슨하고 거칠지만 우리가 익히 봐온 자수와는 다른, 투박한 아름다움이 존재한다.
바느질로 얻는 자신감
복태 워크숍에 온 사람들이 그러더라. 이제는 구멍 난 아이템을 보면 고칠 거리가 생겨 반갑다고. 바느질 기술을 터득하니 수선이 어렵지 않다는 걸 깨닫게 되고, 무엇이든 고칠 수 있을 거란 자신감이 생긴다. 내 물건을 대할 때 용감해진다.
한군 예를 들면 프랑스 자수는 무슨 실을 몇 가닥 뽑아 써야 하는지까지 정해져 있다. 하지만 우리가 하는 바느질은 어떤 실과 바늘을 쓰든 상관없다. 형태가 명확하지 않아도, 직선과 곡선만으로 즐거울 수 있다. 패브릭은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함께하는 소재다. 치앙마이식 바느질을 익히면 굴러다니는 천으로 티코스터나 보자기도 만들 수 있다. 삶을 빛나게 하는 기술이다.
손재주가 없다고 느낀다면
복태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걷지 않았다. 그림과 글씨도 마찬가지다. 바느질 역시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아직 시작하지 않았을 뿐이다. 차근차근 배우다 보면 별것 아니라는 걸 알게 된다. 사람마다 걸음걸이와 글씨체가 다르듯, 바느질할 때도 자기만의 땀 크기가 나온다. 각자의 스타일이 생기면 잘하고 못하고는 중요하지 않다. 내가 바느질을 할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 그 자체가 중요하다. 주저 없이 시작해 보기를 권한다. 결과를 빠르게 얻을 수 있는 일이 별로 없는 인생에서, 바느질은 짧은 시간 안에 큰 성취감을 맛볼 수 있는 매력적인 작업이다.
추천하고 싶은 사람들
한군 마음이 불안한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우리 모두 불안하다. 스스로 불안을 감당하기 힘든 사람들이 이곳에 와서 함께 바느질을 하면 좋겠다.
복태 바느질이 너무 재미있다 보니 휴대폰 확인하는 게 귀찮을 정도다. 문자가 와도 안 보고 싶고, 이 시간이 멈췄으면 좋겠단 생각이 든다. 늘 바느질거리를 들고 다니니 병원이나 은행에서 대기하는 시간도 지루하지 않다. 막상 순서가 됐는데 ‘제발 내 순서가 아니어라’ 하고 바랄 정도로! 그러니 무료함을 견디기 어렵다면 시도해 보길. 심심한 시간에 조금씩 바느질을 하다 보면 어느새 무언가가 완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