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ine
일상의 밸런스를 맞추려면
3D 아티스트 성치영의 하루는 남들보다 늦게 시작되고 늦게 끝난다. 프로젝트 일정에 따라 일과가 달라지는 삶을 사는 그는, 일상의 조화와 균형을 그 무엇보다 중요하게 여긴다.
Routine
관심의 안테나를 열어두기
혼자서 매장을 운영하는 편집 숍 사장님의 하루는 어떤 모습일까? 단조로울 수 있는 일상을 늘 새로운 관심사로 가득 채우는 ‘이플릭’ 윤동원 대표의 루틴.
Routine
생산적으로 딴짓하기
변리사 김형준은 한 치의 여유도 없을 만큼 빼곡한 스케줄 속에서도 일과 일 사이, 하루의 시작과 끝에 틈을 내어 만화를 그린다. 생산적인 딴짓을 위해서.
Routine
퍼즐 조각을 맞추듯
‘24시간이 모자란다고?’ 프로 N잡러로 활약하는 성우 이다슬은 하루를 48시간처럼 보낸다. 바로 이렇게!
Routine
일상의 빈틈 만들기
공간 기획자 하지의 ‘낮’은 놀랍도록 바쁘지만, ‘밤’은 조금 느리게 흘러간다. 때로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하루의 끝이 깊은 안정감을 준다.
Routine
시를 기억한다는 것
정해진 시간도 순서도 없다. 그저 매일 할 뿐이다. 박참새의 시계는 몸의 반응에 따라 움직인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시’가 있다.
Routine
메모에 의한, 메모를 위한
떠오르는 생각을 붙잡아두면 언젠가는 도움이 된다는 걸 알면서도 메모하는 습관이 쉬이 몸에 배지 않는다. 그래서 마케터 노다혜는 루틴을 만들었다.
Routine
소설가의 단정한 밤
모두가 잠든 시간, 문지혁 작가의 하루는 시작된다. 매일 밤 반복되는 일과를 통해 그는 오늘도 소설 쓰기를 해낼 수 있다.